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학선행학습 얼마나 하는게 적당할까?

by 띵수학 2023. 2. 16.
반응형

썸네일

수학선행학습 얼마나 하는게 적당할까?

 

저는 2011년도부터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10년 이상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주변 지인들에게나 학부모님들에게 자주 듣는 질문이 있어요.

"수학은 선행을 해야하나요?", "수학은 언제 선행을 시작하는것이 좋나요?", "수학은 얼마나 선행하는것이 좋나요?", "수학은 어떻게 공부해야 하나요?" 등 다양합니다.

수학 선행해야 할까?

위와 같은 질문을 하는 이유는 수학이라는 과목이 다른과목과는 다르게 학년별 교육내용간에 연계율이 강력하여 놓치는 부분이 생기면 그 부분때문에 나중에 학습을 하는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고, 학년이 오를 수록 내용이 심화되는 것 뿐만아니라 학습해야하는 유형의 수가 점점 늘어나서 학습하는데 상당히 오랜 시간이 소요됩니다.

예를들어, 수학2 도함수의 활용파트에서 단순히 극값에 대한 문제만 출제되는 것이 아닌 고1때 배운 이차방정식의 내용이나 삼차방정식의 내용이 포함되는 유형이 출제되기도 하므로 예전에 배운 내용을 복습하기도 해야하고 지금 배우는내용에 적용하는 연습도 충분히 해야합니다.

 

선행은 언제하는것이 좋을까?

수학은 반드시 선행학습을 해야합니다.

그렇다면 선행은 언제하는 것이 좋을까요?

  • 다음 학기 정도만 선행하기(6개월선행)
  • 다음 학년 선행하기(1년선행)
  • 초등학교 고학년때 중학교 선행, 중학교때 고등학교 선행

지역마다 동네마다 학구열이 다르고, 일반고를 희망하나 외고나 특목고를 희망하냐에 따라 선행의 기준이 다르기때문에 본 글에서 말씀드리는 선행의 기준은 보통 수준의 지역에서 일반고를 진학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다음 학기 선행은 초등학교 6학년 겨울방학때 중학교 1학년 1학기를 선행하고, 중학교 1학년 여름방학때 중학교 1학년 2학기를 선행하는 경우입니다. 일반적으로 한학기 정도만 선행하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그 이유는 선행으로 계속해서 진도만 나가는 것은 학생에게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시는 학부모님들이 많으십니다. 한학기 선행을 하게되면 학생에게도 그렇게 큰 부담이 없습니다.

 

다음 학년 선행은 초등학교 6학년때 중학교 1학년을 선행하고, 중학교 1학년때 중학교 2학년을 선행하는 경우입니다. 보통 초등학교때부터 오랜시간 학원을 다닌 학생들이 학원에서 짠 커리에따라 1년정도의 선행을 합니다.

보통 중학교 1학년이 자유학년제라 초등학교때부터 중학교 1학년때까지 학원을 일절 다니지 않은 학생들이  중학교2학년때 처음 치르는 지필고사를 대비하기위해 학원을 다니는 경우 다음학년 선행을 하는 학원에는 다니지 않으시기 바랍니다. 아이가 적응하지 못할확률도 높고 수학을 어려워하며 수포자가 될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때 중학교 1,2,3학년의 수학을 선행하고, 중학교때 고등학교 수학을 선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일반고의 극상위권을 노리는경우 이렇게 선행합니다.

고등학교 내신에서 1등급을 맞기 위해서는 개념학습 -> 대표유형학습 -> 심화문제학습 -> 킬러문제학습 예를들어 이렇게 학습을 해야합니다.

말로해서 쉬워보이지 다른과목도 공부해야해서 보통 심화문제학습하다가 시험을 치러 가야합니다. 그렇게되면 최대한 잘쳤을때 2등급이 나오고 보통 1등급은 나오기 쉽지 않습니다.

중학교때 평균 80~90점 사이 나오는 학생분들은 3등급도 맞기 쉽지 않습니다.

 


수학선행학습 얼마나 하는게 적당할까?

 

어머님께서 객관적인 수준을 판단하셔야합니다.

초등학교 고학년만 되더라도 학생이 고등학교 극상위권이 될지 안될지 가늠이 됩니다. 극상위권이라 하면 대학교 중경외시 라인이나 약학대 정도 입니다.

극상위권 정도가 아니라면 초등학교 6학년때 중학교 1학년과정을 선행하는 정도가 적당해 보입니다. 그러기 위해선 초등학교 3,4학년부터 학원을 다니며 학습습관을 가지도록 하는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