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 중3 수학 목차 (2015 개정 교육과정) 중3 수학 목차 (2015 개정 교육과정) 를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글은 자기주도학습을 하거나 학습하기 이전에 학습방향에 도움을 주고자 작성된 글입니다. 중학교 3학년에는 고등학교내용의 기본이되는 내용을 배우는 단원들이 아주 많습니다. '제곱근', '곱셈공식', '인수분해', '이차함수', '이차방정식', '삼각비' 등 이러한 내용이 고등학교때 그 내용을 확장하고 깊이있게 배웁니다. 고등학교때에는 중학교때 배운 내용을 다시 복습할 시간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중학교때 학습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은 많은 학생분들이 고등학교 수학을 힘들어합니다.... 아마 수포자가 나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1단원. 제곱근과 실수 중학교 2학년때는 수의체계를 '유리수'범위 까지 배웠다면 중학교 3학년때는 '.. 2022. 12. 4. 중2 수학 목차 (2015 개정 교육과정) 중2 수학 목차 (2015 개정 교육과정) 을 알아보려합니다. 아래 글은 자기주도학습을 하거나 학습하기 이전에 학습방향에 도움을 주고자 작성된 글입니다. 현 교육과정에서는 보통 중학교 1학년은 자유학년제가 실시되어 시험을 치르지 않습니다. 그래서 중학교 2학년은 첫 내신시험을 치르게되는 학년입니다. 1단원. 수와 식 2학년 수학 첫 단원으로 학원에서 미리 선행하지 않은 학생들도 아주 쉽게 풀어나가는 단원입니다. 그 이유는 자유학년제라 학원은 다니지 않더라도 구몬이나 눈높이같은 학습지 정도는 푸는 학생들이 많고 1단원이 많은 개념을 요구하는 단원이 아니라 학습지로 여러번 반복학습한 학생분들은 상대적으로 1단원을 쉽게 받아들입니다. 1-1 유리수와 소수 분수와 소수를 이전에 배웠지만 유리수의 개념을 배우며,.. 2022. 11. 27. 중1 수학 목차 (2015 개정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 목차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중학교 1학년은 학교마다 다르지만 자유학기제나 자유 학년제를 하고 있습니다. 간혹 시험을 치르지 않는다고 기본적인 개념이나 대표 유형을 충분히 풀어보지 않고 2학년으로 올라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 1학년을 소홀히 학습하는 학생들의 경우 초등학교 내용도 충분히 학습하지 않았을 확률이 높습니다. 이렇게 되면 중학교 2학년부터 시험을 치르게 되는 학생의 학업량이 그전에 비해 과하게 많아지고 그에 적응하지 못하고 앞으로의 학업에 큰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되도록 고난도 문제는 하지 않더라도 시중에 판매되는 기본 문제서의 대표 유형은 2~3번 이상 풀어보는 것이 추후 수학 공부를 하는데 어려움을 줄일 수 있습니다. 1단원. 소.. 2022. 4. 21.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